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수학교육
- 접할때
- 복소해석학
- 기출문제
- 선대
- 최소다항식
- minimal polynomial
- 수학교육과
- 케일리 해밀턴 정리
- 고1수학
- 기약다항식
- 고1
- 손해설
- 대학수학
- 선형대수학
- 교사
- 기출
- 복소함수론
- 리만사상정리
- 이산수학
- 고3
- 케일리 해밀턴 정리 증명
- 손풀이
- 수학
- 예비교사
- Linear Algebra
- 복소
- 6월
- 생각
- 전공수학
- Today
- Total
돌수학
[선형대수학] 케일리 해밀턴 정리, 기약다항식 본문
이번 포스팅에서는 케일리 해밀턴 정리와 기약다항식에 대해 알아보겠다. 매우 요긴하게 사용될 정리이니 꼭 알고 넘어가자.
케일리 해밀턴 정리는
간단하게 말하면 모든 정사각행렬은 자신의 특성방정식을 만족시킨다는 정리이다.
Thm 1. Cayley - Hamilton ( 그러면 |
이 정리는 벡터공간
즉,
여기서는 adjoint matrix의 개념을 사용하여 증명하고,
추후 T - invariant subspace 등을 학습한 후 다른 증명 또한 소개하겠다.
그런데 증명에 앞서
"아니 근데
라고 생각할 수 있다.
특성다항식의 정의를 생각해보자. 특성다항식
이때
특성다항식의 정의 자체가
즉,
즉,
특성다항식의 정의 자체가 스칼라에 대해서 정의하고있으므로, 함부로
이해가 안가더라도 깊이 생각해보길 바란다.
adjoint matrix(수반행렬)을 사용하여 증명해보기 전에, 수반행렬의 특징을 먼저 언급하고 넘어가겠다.
수반행렬은 여인수행렬의 전치행렬이다. 정사각행렬
본격적으로 케일리 해밀턴 정리를 증명하겠다.
행렬
즉,
앞으로
위 식은
꼴 이어야한다. (여기서
좌변을 풀어서 쓰면
따라서 계수비교법을 통해
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케일리 해밀턴 정리에 의하여 어떤 행렬
이를 조금 더 구체화하기 위해 먼저 기약다항식(irreducible polynomial)에 대해 알야아하는데,
말 그대로 더 나눌 수 없는 다항식이다.
즉, 어떤 다항식이 기약인지 아닌지는
예를 들어
하지만
대수학의 기본정리(Fundamental Theorem of Algebra, FTA)와
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증명은 생략하겠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케일리 해밀턴 정리와 그 증명, 기약다항식의 개념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케일리 해밀턴 정리와 기약다항식의 개념을 사용하여 중요한 정리를 소개하고
관련 예제를 풀어보겠다.
'전공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산수학] 카탈란 수(Catalan numbers) (2) | 2024.12.20 |
---|---|
[선형대수학] 특성다항식과 최소다항식 관계 (0) | 2024.12.09 |
[선형대수학] 최소다항식(minimal polynomial) (2) (0) | 2024.12.07 |
[선형대수학] 최소다항식(minimal polynomial) (1) (1) | 2024.12.06 |
[복소해석학] 리만 사상 정리(Riemann mapping theorem) (2) (0) | 2024.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