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복소해석학
- minimal polynomial
- 기약다항식
- 케일리 해밀턴 정리
- 수학교육
- 6월
- 수학
- 기출
- 케일리 해밀턴 정리 증명
- 고3
- 수학교육과
- 최소다항식
- Linear Algebra
- 고1기출
- 고1
- 선대
- 교사
- 손해설
- 복소
- 대학수학
- 접할때
- 손풀이
- 예비교사
- 리만사상정리
- 고1수학
- 생각
- 기출문제
- 선형대수학
- 전공수학
- 복소함수론
- Today
- Total
돌수학
[선형대수학] 특성다항식과 최소다항식 관계 본문
앞선 포스팅들에서 알아본 정리들 중 다음 두 가지가 있다.
1. 행렬 $A$의 최소다항식 $m(x)$와 임의의 다항식 $p(x) \in \mathcal{F} [x]$ 에 대하여
$p(A)=0$ $\Longleftrightarrow$ $m(x)$ is a factor of $p(x)$
2. (케일리 해밀턴 정리) $A$의 특성다항식 $f(x)$에 대하여
$f(A)=0$
1번은 최소다항식이 말 그대로 "최소"임과 division algorithm을 이용하여 증명하였고
2번은 adjoint matrix를 이용하여 계수비교법으로 증명하였다.
또 1번과 2번을 결합하면
3. 최소다항식 $m(x)$는 특성다항식 $f(x)$를 나눈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이에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한 기약다항식을 바탕으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앞으로 유용하게 쓰일 정리에 대해 알아보겠다.
(비슷한 정리를 이전 포스팅 [선형대수학] 최소다항식(2) 말미에서 언급하였고, 증명없이 넘어갔다.)
Thm 1. 만약 특성다항식 $f(x)$가 서로소(relatively prime)이고 최고차항의 계수가 1(monic)이고 기약(irreducible)인 다항식 $p_i(x)$들에 대하여 $$f(x)=p_1(x)^{f_1} \, \cdots \, p_k(x)^{f_k} \quad (f_i \in \mathbb{N})$$ 꼴로 나타나면 최소다항식 $m(x)$는 $$m(x)=p_1(x)^{m_1} \, \cdots \, p_k(x)^{m_k} \quad 1 \leq m_i \leq f_i$$ 꼴로 나타난다. |
예를 들어서 쉽게 말하면
$f(x)=(x-1)^2(x-2)$ 라면, 그 최소다항식 $m(x)$는 $m(x)=(x-1)(x-2)$ 아니면 $m(x)=(x-1)^2(x-2)$ 둘 중 하나라는 것이다.
위 정리는 특성다항식이 주어지면, 이를 통해 최소다항식의 형태가 어느정도 특정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후 포스팅에서 언급될 내용들에서 매우 요긴하게 사용되니 꼭 기억하자.
사실 위에서 언급한 3. $m(x)$가 $f(x)$를 나눠야 한다는 사실로 어느정도 어려움 없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다.
pf)
우리는 체 $ \mathcal{F}$가 (i) 복소수($ \mathcal{F}= \mathbb{C}$) 이거나 (ii) 실수($\mathcal{F}= \mathbb{R}$) 인
두 가지 경우만 다루겠다. 선형대수학에서는 이 두 가지 경우만 다루자. 이 이상의 내용은 현대대수학에서 학습하자.
(i) $ \mathcal{F}= \mathbb{C}$
복소수체에서는 대수학의 기본정리에 의해 모든 기약다항식이 일차식이다.
즉, $f(x)=(x- \lambda_1)^{f_1} \; \cdots \; (x- \lambda_k)^{f_k} $꼴이다.
여기서 $\lambda_i$들은 고유값이다. (특성다항식이니까)
각 $\lambda_i$에 대응되는 고유벡터 $v$에 대하여
$\lambda_i \, v=Av$이므로 $m(A)v=m(\lambda_i)v$이다.
이때 $m(A)=0$이므로 $m(\lambda_i)=0$이다.
즉, 모든 $ \lambda_i$에 대하여 $(x-\lambda_i)$는 $m(x)$의 인수이다.
그러므로 $m(x)=(x-\lambda_1)^{m_1} \; \cdots \; (x-\lambda_k)^{m_k} $꼴이고, $ 1 \leq m_i $이다.
$m(x)$가 $f(x)$를 나눠야 함에서 $m_i \leq f_i$이다. 따라서 복소수 위에서의 증명은 끝났다.
(ii) $\mathcal{F}= \mathbb{R}$
실수에서 기약다항식은 일차 아니면 이차식이다. (저번 포스팅에서 증명하였다.)
일차인 $p_i(x)$들에 대해서는 (i)과 동일하게 증명이 된다.
즉, 우리는 이차인 $p_i(x)$들에 대해서만 증명하면 된다.
우리는 억지로 복소수체를 끌고 와서 실수체를 복소수체의 부분체의 입장에서 바라볼 것이다.
어떤 느낌이냐면... $x^2+1$이 실계수 다항식이긴 하지만, 복소계수 다항식으로도 볼 수 있잖아. 실수도 복소수니까.
또 실계수 다항식이라고 해서 복소수를 못대입하는건 아니잖아.
이 말이 이해가 안가면 그냥 대충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넘어가자. 증명함에 있어서 중요하지 않다. 선형대수학에 있어서도 그리 중요하지 않은 내용인 것 같다. 현대대수학에서 학습하도록 하자.
이차인 $p_i(x)$에 대하여 $\lambda$가 $p_i(x)=0$의 복소 근이라고 하자. (이차인 기약다항식이니까 실근이 아니라 복소근이다.)
($p_i(x)$는 실계수다항식이므로 $p_i(\lambda_i)=p_i(\bar{\lambda_i})=0$)
또 그 $\lambda_i$에 대응되는 고유벡터를 $v \in \mathbb{C}^n$라 하자.
그러면 (i)과 같은 전개로 $m(\lambda_i)=0$이다.
$m(x)$는 실계수 다항식이므로 복소수 $\lambda_i$가 $m(x)=0$의 근이면,
$\lambda_i$의 켤레, 즉 $\bar{\lambda_i}$ 또한 $m(x)=0$의 근이다.
즉, $p_i(x)$는 $m(x)$의 인수이고 $1 \leq m_i \leq f_i$가 성립한다.
어렵지는 않은 증명이다. 사실 선형대수학에서 나오는 증명들은 실, 복소해석학, 위상수학, 현대대수학에 비하면
읽고 따라가기에 어렵지 않은 내용들이 많다. 그러니 증명을 두려워하고 포기하지 말자.
이제 이 정리를 이용하여 실제 구체적인 행렬의 특성다항식을 이용하여 최소다항식을 구해보겠다.
ex 1)
행렬 $A= \begin{bmatrix} 1 & 0 & 1 \\ 0 & 3 & 0 \\ 0 & 0 & 3 \end{bmatrix}$가 있다.
$A$의 특성다항식은 $f(x)=(x-1)(x-3)^2$이다. (상삼각행렬이므로 특성다항식은 주대각요소의 곱으로 빠르게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방금 익힌 정리에 의하여 최소다항식은 $m(x)=(x-1)(x-3)$ 혹은 $(x-1)(x-3)^2$ 둘 중 하나임을 알 수 있다.
이젠 직접 $(A-1)(A-3)$을 해보는 수 밖에 없다.
$(A-1)(A-3)$을 계산했더니 영행렬이 나온다면 최소다항식은 $(x-1)(x-3)$인 것이고,
영행렬이 나오지 않는다면 최소다항식은 $(x-1)(x-3)^2$인 것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렇게 특성다항식과 최소다항식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조금 심화하여 벡터공간의 분해에 대해 다루겠다.
갑자기 뜬금없이 벡터공간분해? 라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사실 우리의 최종목표는
벡터공간에서 어떤 선형연산자를 다루기 쉬운 행렬표현으로 나타내고자 함
이다. 이때 필요한 도구로 최소다항식, 케일리해밀턴정리 등을 학습한것이다.
앞으로의 포스팅을 통해 퍼즐 조각이 끼워맞춰질 것이다.
'전공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형대수학] 케일리 해밀턴 정리, 기약다항식 (0) | 2024.12.07 |
---|---|
[선형대수학] 최소다항식(minimal polynomial) (2) (0) | 2024.12.07 |
[선형대수학] 최소다항식(minimal polynomial) (1) (1) | 2024.12.06 |
[복소해석학] 리만 사상 정리(Riemann mapping theorem) (2) (0) | 2024.09.03 |
[복소해석학] 리만 사상 정리(Riemann mapping theorem) (1) (0) | 2024.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