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케일리 해밀턴 정리
- 수학교육과
- 복소함수론
- 교사
- 선대
- 대학수학
- 손해설
- 손풀이
- Linear Algebra
- 복소
- 최소다항식
- 생각
- 기약다항식
- 리만사상정리
- 케일리 해밀턴 정리 증명
- 접할때
- 복소해석학
- 고1수학
- 수학교육
- 수학
- 선형대수학
- 기출문제
- 고1
- 예비교사
- 전공수학
- 6월
- 고3
- 이산수학
- 기출
- minimal polynomial
- Today
- Total
돌수학
[복소해석학] 리만 사상 정리(Riemann mapping theorem) (2) 본문
저번 글에 이어 리만 사상 정리(Riemann mapping theorem)의 증명을 이어가겠습니다.
먼저 저번 글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겠습니다.
리만 사상 정리 :
$ D(\neq \mathbb{C}) $ 가 simply connected domain이고 $ z_0 \in D$ 이면
$ \exists $ unique bijective conformal function $f$ which maps $D$ onto the disk $|z|<1 $
s.t $ f(z_{0})=0 , f'(z_{0})>0$.
리만 사상 정리가 의미하는 바는 복소평면 상의 $ \mathbb{C}$가 아닌 임의의 두 단순 연결 영역은 동형이라는 뜻입니다.
이 정리의 증명을 위해 저번 글에서 균등유계(uniformly bounded)와, normal의 정의, 그리고 몬텔정리까지 알아봤습니다.
증명은 크게 유일성에 대한 증명과, 존재성에 대한 증명으로 나누어지고, 지난 시간에 유일성에 대한 증명과 존재성에 대한 증명 중 Step 1, 즉 우리가 정의한 함수족 $F$가 공집합이 아님을 증명했다.
(Existence) 우선 함수족 $F$를 단사이고 $g(z_0)=0$, $g'(z_0)>0$, $|g(z)|<1$ for all $z\in D$인 모든 해석함수 $g : D\to \mathbb{C}$들의 함수족이라 하자.
존재성을 증명할 때 그런 함수족 $F$가 공집합이 아님을 먼저 증명하고(Step 1) : clear
$z_0$에서 미분계수가 최댓값을 갖는 함수 $f$가 함수족 $F$에 존재함을 증명하고(Step 2)
마지막으로 $f$가 전사(surjective)임을 증명할 것이다.(Step 3)
이제 Step 2를 증명해보자.
- Step 2 : $z_0$에서 미분계수가 최댓값을 갖는 함수 $f$가 함수족 $F$에 존재한다.
$F$는 $D$에서 균등유계이므로 몬텔정리에 의하여 $F$는 normal family이다.
$A$를 $A := \sup \{g '(z_0) | g\in F \}$라 하자. 그러면 Step 1에 의해 $A$는 양수이다.
그리고 $ \exists \{ f_n\} $ in $F$ s.t $ \displaystyle \lim_{n \to \infty} f '_n(z_0) =A$이다.
$F$는 normal이기 때문에 $\exists \{f_{n_k} \}$, $ \exists f$ s.t 모든 $D$의 컴팩트 부분집합에서 $f_{n_k} \rightrightarrows f$.
모든 $z \in D$에 대하여 $|f(z)| \leq 1$이고,
$\displaystyle f(z_0)=\lim_{k \to \infty}fn_k(z_0)=0$, $f'(z_0)=A \geq f'_1(0)>0$이므로 $f$는 $D$에서 상수함수가 아니다.
$f_{n_k}$는 해석적이고 단사이므로 $f$도 해석적이고 단사이다.
그리고 $f'_{n_k}$는 $f'$으로 점별수렴하므로 $\displaystyle \lim_{k \to \infty}f'n_k(z_0)=f'(z_0)=A<\infty$.
즉, $A$는 어떤 양의 실수이고, 따라서 $f$는 $z_0$에서 미분계수의 최댓값을 갖는다.
이것으로 Step 2는 비교적 어렵지 않게 증명이 끝났고, 마지막으로 Step 3을 증명해보자.
- Step 3 : $f$는 전사(surjective)이다.
귀류법을 이용할 것이다. 즉, $\exists \alpha$ s.t $|\alpha|<1$, 모든 $z \in D$에 대하여 $f(z) \ne \alpha$라 가정하자.
즉, 단위원판 안의 어떤 점 $\alpha$를 $f$가 채우지 못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displaystyle \{ G(z) \}^2= \frac{f(z)-\alpha}{1-\overline{\alpha}f(z)}$인 해석함수 $G$가 $D$에 존재하고 $|G(z)|<1$이다.
그러면 함수 $H$를 $\displaystyle H(z)=\frac{|G'(z_0)|}{G'(z_0)} \frac{G(z)-G(z_0)}{1- \overline{G(z_0)}G(z)}$라 하자.
$H(z_0)=0$, $H'(z_0)>0$이므로 $H \in F$이다.
그러면 $\displaystyle H'(z_0)=\frac{|G'(z_0)|}{1-|G(z_0)|^2}=\frac{1+| \alpha |}{2 \sqrt{| \alpha |}}A>A=f'(z_0)$이므로 Step 2의 $A$의 정의에 모순이다.
즉, $f$ maps $D$ onto unit disk.
이렇게 Step 1, Step 2, Step 3에 의해 우리가 리만 사상 정리에서 원하는 함수 $f$의 존재성이 증명됐고, 유일성에 대해서도 증명했으므로 리만 사상 정리의 증명이 완료되었다.
레이텍으로 처음 작업을 해보았는데, 한글 수식편집기에 비하면 시각적으로 바로바로 드러나지 않아서 시간이 오래걸렸다. 더 자주 게시글을 작성하여 익숙해지게 만들어야겠다.
'전공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형대수학] 특성다항식과 최소다항식 관계 (0) | 2024.12.09 |
---|---|
[선형대수학] 케일리 해밀턴 정리, 기약다항식 (0) | 2024.12.07 |
[선형대수학] 최소다항식(minimal polynomial) (2) (0) | 2024.12.07 |
[선형대수학] 최소다항식(minimal polynomial) (1) (1) | 2024.12.06 |
[복소해석학] 리만 사상 정리(Riemann mapping theorem) (1) (0) | 2024.09.01 |